제 7 - 작물의 생산기술
in Notes / Liberalarts / Manandfood
4/3 ~
생산체계
- 작물 생산 = 기술 (art) + 과학 + 사업
1. 친환경 작물생산
- 친환경 작물재배 : 지속농업 (sustainable agriculture)
- (i) 자연농업: 지력을 토대로, 심어두고 관심X
- (ii) 유기농업: 농약/화학 비료 사용X
- (iii) 생태농업: 생태적으로 피해 안가는 선에서 적당히 사용
- (iv) 저투입 지속농업 (LISA, low input sustainable agriculture): 환경에 부담 주지 않고 지속적
- (v) 정밀노업: Smart Farm, AI등의 도움을 받아 정보 활용해 효율적으로 비료 투입
- GAP (Good Agricultural Practices), 생산이력제 등으로 라벨링
- 시설재배 (protected cultivation)
- 재배환경 인위적으로 조절
비닐/유리온실 - 주로 채소, 하훼, 과수에 사용
- 재배환경 인위적으로 조절
- 생력기계화 재배 (labor-saving culture)
- 경지정리: 기계작업 위해서 땅 크게 잡아야 함 \(\rightarrow\) 소유자가 다 다른 문제 \(\Rightarrow\) 집단재배, 공동재배
- 잉여노동력에 대한 대책 필요 (요즘은 조합이 있음)
- 제초제의 이용, 기계화
- 기계화 식물:
- 벼: 우리나라 1등, 맥류: 많이 무족+외국 수입, 콩: 전혀 안되어 있음, 참깨: 내탈립 품종 우선시되어야 함
2. 작부 체계 (cropping system)
- 연작 (continuous cropping): 작년에 A심은 곳에 올해 또 A 심기
- 기지현상 (soil sickness) 발생 가능
- 연작해 가능: [
벼
,맥류(밀,보리)
,옥수수
,조
,수수
,호박
] - 불가: [
인삼
,수박
,가지
]
- 윤작 (crop rotation)
- ex: 옥수수 - 콩 - 귀리 - 클로버
- 지력유지, 토양보호, 기치현상X, 병충해경감, 잡초경감…
- 답전윤환: 논 = 담수논 \(\longleftrightarrow\) 밭 (rotate)
- 혼파 (파종섞기, 한꺼번에 심기) \(\rightarrow\) 가축들이 먹기 좋음 (영양분 골고루)
- 간작, 혼작, 교호작, 주위작 \(\leftarrow\) 심는 방법들
파종과 재석식밀도
1. 정지 (soil preparation)
파종과 이식에 알맞는 토양으로 조정
경운 (plowing): 토양 뒤짚기, 토양 물리성 개선, 잡초와 해충 경감
- 쇄토 (harrowing, rotary): 토양 분쇄
- 작휴 (이랑짓기) : 울퉁불퉁하게 만들어 물 통로 만들기
- 진압 : 모세관 형성 위해 눌러주기
2. 파종양식
- 파종시기: depends on 작물
- 파종양식:
- 산파 : 퍼뜨리기, 노력 적게 듬
- 조파 : 골뿌림, 기기사용, (벼, 맥류에 사용), 공간 넓지 않을 때 좋음
3. 재식밀도 (plant density)
면적당 작물의 개체수
- 영양생장 후 최적엽면적 (광합성 최대) 도달 위해 조정
- 파종시기에 따른 재식밀도
- 일찍 파종 \(\rightarrow\) 소식
- 늦게 파종 \(\rightarrow\) 밀식
- 작물요소에 따른 재식밀도: 작물 크기, 분얼정도 (분리되어 나오는 경우)
- 환경요소에 따른 재식밀도: 광, 토양비옥도, 지력
- 적정재식밀도: 작물마다 다르지만, 적당히 퍼뜨려 놔야 넘어짐 현상 없음
발아, 육묘, 이식
1. 종묘
종자 (seed)와 묘 (seedling)
- 종자류 분류 (구분법)
- (i) 형태: [종자, 포자, 영양기관]
- (ii) 배유 유무:
- 배유 有: [
벼
,밀
,보리
,옥수수
] - 배유 没有: [
콩
,팥
,완두
]
- 배유 有: [
- (iii) 저장물질
- 전분종자: [
벼
,맥류
,잡곡
] - 지방종자: [
참깨
,들깨
]
- 전분종자: [
- 종묘로 이용되는 영양기관:
- 눈, 잎, 줄기, 뿌리
2. 종자발아
- 선종과 종자처리
- 선종 (seed collection)
- 종자소독 (\(\leftarrow\) 약)
- 침종 : 물에다 담구기
- 종자처리 (휴면타파) : 휴면 중단시키기
- 종자 발아 (germination) aka 맹아 (sprouting)
- 내적조건: 유전성, 성숙도, 휴면여부
- 외적조건: 수분, 산수, 온도, 광선
- 호광성: (光 필요) [
담배
,상추
] - 혐관성: [
가지
,파
,수박
] - 무관계: [
화곡류
,콩과작물
]
3. 육묘와 영양번식
- 육묘 : 묘종 심는 것
- 육묘의 필요성:
- 직접 종자 파종이 힘들 때 (딸기, 고구마)
- 증수, 조기수확, 토지이용도 高, 재해방지…종자절약
- 묘상 (seed bed) 종류:
- 못자리 (벼)
- 묘포 (수목)
- 영양번식: 종자 대신 식물의 종자를 옮겨 영양분 옮기기 (ex: 감자 덩이줄기)
- 이식: 옮겨 심기 (벼에서는 ‘이양’이라고 한다)
시비와 생장조절
1. 비료의 종류
- 성분별 분류:
- 3요소 (N, P, K)
- N 뿌리면 잎이 진해짐
- P \(\rightarrow\) 열매
- K \(\rightarrow\) 줄기 강화 - 화학비료
- 지속성으로 분류:
- 속효 (快), 완효 (慢), 지효성 (지속성)
급원에 따른 분류: 무기질, 유기질, 식물성
- 경제적 견지: 판매비료, 가급비료 (homemade)
2. 시비의 이론적 배경
- 최소 양분율 (law of minimum nutrient): 가장 적은 양분에 작물생산 제한
- 수량점감의 법칙 (단일 성분 기준): 적정 시용양 증가까지 최대수량 유지
- 작물의 종류/시비 : 수확물 이용부위에 따른
- 품종과 시비: 다비성 작물
- 생육과정과 시비
- 재배조건과 시비
3. 시비량과 시비법
- 시비 시기:
- 기비 (basal fertilization): 파종 전 땅에 뿌리기
- 추비 (top dressing): 파종 후 싹 나고 위에 뿌리기
- 토양 시비:
- 표층 시비
- 심층 시비: 땅 깊이 심는 것
- 전층 시비: 전체로, 위아래
- 엽면 시비: 엽면에 뿌리기 (일정 앞당길때)
4. 생장 조절제
- 작물의 생장균형
- C/N 율 (탄수화물, 질소 비율)
- T/R 율 (지상부생장율, 지하부생장율)
- G-D 균형: (Growth-Differentiation)
- 식물 생장 조절제
- 생장 촉진제: 옥신, 지베렐린, 시토키닌
- 생장 억제제: ABA, 에틸린
관리 및 재해방제
1. 관리
- 보식/솎기
- 보식: 직점 심기 (ex: 기계 오작동, 두더지 등의 이유로)
- 솎기: 직접 뽑기
- 중경 및 제초
- 멀칭, 배토, 토입 (덮기), 단압 (흙 밟기)
- 생육형태의 조정
- 정지 (가지 골격유지 위해 절단)
- 전정 (생산 관련 절단)
- 적심 (신초 절단으로 신장 억제)
- 적아 (불필요한 눈 제거)
- 결실 조건
- 적화(花) : 꽃이 많으면 과일이 많아짐 \(\rightarrow\) 과일 사이즈 줄어들어 애초에 없애버리기
- 적과(果) : 적화 시기 놓치면 적과
- 수분매개
- 단위결과 (꽃가루 없어도 수정했다고 착각하게, 씨없는 과실)
- 봉지 씌우기 (포도 같은 경우는 비오면 커짐 \(\rightarrow\) 터져버린다)
- 성숙촉진/지연: 호르몬 사용
2. 잡초방제
농사는 잡초와의 싸움
- 잡초: 작물 사이에 발생하여 작물수량/품질 저하시키는 식물
-
ex: 콩밭에 옥수수 - 잡초의 피해
- 경합 (competition) : 양분 등의 경쟁
- 타감작용 (allelopathy) : 잡초의 영역확장 위해 본 작용에 악영향
-
- 분류: 1년, 2년, 다년생
-
잡초의 방제 - 예방적 방제
- 생태적, 경종적 방제
ex: 콩, 밀 번갈아가며 심기 - 물리적 방제 (손으로 뽑기)
- 생물적 방제 (제한적으로 쓰임)
ex: 우렁이가 잡초 먹게 사용, BUT 주변 농가에게 양해 필수 - 화학적 방제
- 종합적 방제 (integrated weed management, IWM)
3. 기상재해의 방제
- 수분장해: 한해 (수분X), 습해 (수분 多), 수해 (수분 太多)
- 온도장해: 냉해, 열해
- 광 스트레스
- 대기오염
- 풍해
4. 병충해 방제
- 경종적 방제법 (agricultural control)
- 재배방법에 의하여 병충해 방제
- 경지의 선정, 품종선택, 종자선택 …etc
- 생물학적 방제법 (biological control)
- 천적 이용
- 기생성 곤충, 포식성 곤충, 병원 미생물 \(\rightarrow\) 실험단계
- 물리적 방제법
- 포란 (해충들 알 까는 통 소각), 소각
- 화학적 방제법
- 살균제, 살충제, 유인제, 기피제, 화학물임제
- 법적 방제법
- 검역법 강화 (나라별 다 다름)
- 종합적 방제법 (integrated Pesticide Control, IPC)
if
병해충 밀도 < 경제적 피해 이하 \(\Rightarrow\) 전멸시킬 필요 X (전멸 시 다른 해충 출몰 가능)
성숙과 수확 (중요)
1. 성숙
- 개화 후 종자의 발달
-
등숙기간 (grain filling period)
- 벼: 출수 후 40-50일
- 콩: 개화 후 50-60일
- 재배환경에 영향 받음, 특히 수분장애
-
수량구성요소 - 올해 예산 예측과 직결되기에 농가에서 중요하다
- 화곡류 (단위면적당): \(수량=수수 \cdot 영화수 \cdot 등숙율 \cdot 립중\)
- 영화수: 알갱이수
- 등숙율: 알갱이 비율
- 립중: 종자 하나 무게
- 두류 (콩): \(수량=개체수 \cdot 협수 \cdot 종자수 \cdot 종자중\)
- 협수: 각 개체 안 위로 나있는 sprout들의 수량
- 종자수: 각 sprout 내 종자 수
- 괴근경 작물 (고구마, 감자): \(수량=개체수 \cdot 괴근경수 \cdot 괴근경무게\)
- 괴(고구마뿌리) , 근 (감자 알갱이)
3. 도정 (milling)
쌀 깎기
- 제현 : 정조 (unhulled rice) \(\longrightarrow\) 현미 (brown rice) (과피 제거)
- 현백 : 현미 \(\longrightarrow\) 백미 (겨층 (bran layer)제거)
도정 : 제현 + 현백
- 도정률 (milling ratio) = \(\frac{제현율\cdot현백률}{100}\) , 높을수록 좋다
- 껍질을 벗겨도 무게가 비슷하면 좋음
- 공무원 용어들: 정조 = 조곡, 백미 = 정곡