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 8장 - 곡물의 품질과 저장
in Notes / Liberalarts / Manandfood
4/3 ~
- 저장기간 중요 → 손해 줄이기 (일단 저장하면 웬만해선 안좋아진다(부피, 품질))
곡물의 품질
1. 작물의 수확 후 관리기술 (postharvest biotech)
- 탈곡, 건조, 저장, 유통, 도정, 포장 전 과정에 필요한 기술
- 저장기관과 저장환경에 따라: 중량손실, 양분손실 (호흡, 호흡열 방출), 품질감소 (색, 광택, 성분), 활력감소 (발아력) , 물리적 손상 (수확 후 기계적 상처)
2. 품질 기준
- 외적 조건
- 순도: 순수종자의 중량비율
- 종자의 크기와 중량: 크기 : 1000립중 (1000개로 재기) / 100립중 잼 충실도 : 1리터 중 잼
- 색택 및 냄새, 수분함량
- 건전도: 오염, 변색, 기계적 손상 없는 것
- 내적 조건
- 유전성: 우량품종
- 발아력 (%) : 순활종자 = \(\frac{발아율*순도}{100}%\)
- 병충해: 종자전염되는 병충원을 갖지 않는 것
3. 종자의 검사
- 종자검사항목 : 순도분석, 오염 여부..etc
- 형태적 특성에 의한 검사: 종자, 유묘
- 영상분석법 (매우 빠름)
- 분자생물학적 검정 (주로 소송, 문제 생겼을 때)
4. 종자보증
- 국가에서, 굉장히 제한적을 보장
- 종자분쟁에서 가장 많이 쓴는 것: biotechnology
5. 기능성 물질
- 콩: 이소플라본 (결정적인 항암효과), 사포닌
- 보리: 베타글루칸 (식이섬유) → initiates 통기성 gas
- 들깨: 오메가3
- 옥수수: phytosterols (혈압강하)
- 메밀: 루틴 (당뇨 예방, 혈압 예방)
- 벼
종자의 휴면
1. 휴면 (dormancy) 정의
- 성숙한 종자에 발아조건 주어도 일정기간 발아하지 않는 성질
- 1차 휴면 (모든 작물에 해당)
- 자발적 휴면 (innate dormancy) / 진정 휴면 (true dormancy)
- 강제 휴면 (imposed dormancy) / 타발적 휴면 (exogenous dormancy)
- 2차 휴면 (더 깊게)
- 발아에 불리한 환경조건에서 장기간 보존된 후 발아 적당 조건에도 휴면상태
- 저온처리, 지베렐린 처리 등등으로 휴면 깨기 가능
2. 휴면 원인 (특수경우)
- 배의 미숙 ⇒ 충분히 성숙 (후숙, after-ripening) 시키고 발아해야 함
- 배(싹)휴면 (생리적휴면) ⇒ 저온, 지베렐린 처리
- 경실 (hard seed) : 너무 딱딱해서 물 안들어감
- 종피의 불투기성: 산소가 안들어감
- 종피의 기계적 저항
- 발아억제물질존재
2. 휴면 타파와 발아 촉진 (해결책)
- 종피파상법 (상처내기), 저온처리, 건열처리, 습열 처리, 진탕 처리…
종자의 수명
1. 종자의 수명
- 단명종자 (2년 내, 옥수수), 상명종자 (밀, 벼, 보리), 장명종자
2. 종자의 퇴화
- 유전적퇴화:
- 자연교잡, 유전자형 분리, 돌연변이, 이형종자 혼입(엉뚱한 유전자 섞여있음)
- 생리적퇴화: 생산지 환경, 재배, 저장조건 불량
- 병리적퇴화: 종자로 전엽되는 바이러스
- 저장종자의 퇴화: 가만히 놨둬도 원소들 분해 때문에 퇴화
곡물의 저장
1. 저장곡물의 변화 (퇴화)
- 호흡 → 양분 소모 → 수분증발 → 안좋음
- 시간 지날수록 발아율 떨어짐
- 지방 산화 → 품질저하, 유리지방산 증가
- 전분 종자들 분해
- 관리 소홀 → 미생물, 해충 가해
2. 저장전처리 (필수)
- 이유: 수분손실, 호흡작용, 부패/미생물/해충 억제 조건
- 수분 높은 작물 (감자, 고구마): 상처 먼저 큐어링 (상처 치료)
- 수확 후 1주일 이내, 온도, 습도 올리면 고구마 스스로 실링
- 청과물 (상추, 과일) : 예냉 (수확 직후 온도 바로 낮춤)
3. 저장환경
- 온도 (주로 저온) : 미생물 번식 방지
- 습도 : 미생물 번식 방지
- 산소 : 제거 위해 이산화탄소, 질소가스 주입
- 곡물의 성상 (현미, 백미)
- 현미 - 벼 부피의 1/2, 포장과 유통비용 절감, 벼보다는 저장성 떨어짐
- 백미 - 온도와 습도 변화에 민감, 해충의 침해 쉬움
4. 작물 별 안전저장조건
- 수분함량: 5% < \(x\) < 20%
- 벼: 15도, 수분함량: 15%
- 옥수수, 수수, 귀리 : 13%, 보리: 13-14%, 콩: 11%
- 식용감자, 씨감자: 3-4% 저장 전 큐어링 (온도 낮)
- 가공용 감자: 10도
- 고구마: 13-15도, 상대습도 85-90% 저장 전 큐어링 (온도 높게)
- 과실 (0-4%, 온도 낮게)
5. 저장시설
- RPC (Rice Processing Complex) : 미곡종합처리장 (중요!!!)
- DSC (Drying and Storage Complex): 건조저장소